주간보호와 단기보호 서비스의 차이점을 체험하면서 같은 고민을 하고 계신 보호자분들께 도움이 되고자, 2025년 기준으로 두 서비스를 비교해 보려고 합니다.
1. 내가 선택했던 돌봄 서비스
낙상으로 뇌출혈 수술 후 요양병원으로 가시기 전까지 아빠는 비교적 건강하셨지만, 오래전 다친 무릎이 좋지 않아 장기요양등급 3등급을 받으셨습니다. 집에서 생활하던 중 점점 무료함을 느끼셨고, 저는 아빠의 생활 만족도를 조금이라도 높이기 위해 주간보호 서비스를 이용하기로 했습니다.
주간보호 센터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었고, 연령대가 비슷한 어르신, 요양보호사 선생님들과 소통하며 지내셨습니다.
다만,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할 수 없는 일요일의 경우(아빠가 다니시던 주간보호센터에는 단기보호는 운영하지 않았기 때문에 ) 제가 일정이 있어서 식사 등 아빠를 챙겨드리지 못하는 날을 대비하여 사전에 단기보호도 알아봤었지만 단기보호는 지역적으로 운영하는 곳이 많지 않았고, 대기도 있어서 일정을 맞추는 것이 쉽지가 않았습니다.
결국 저는 단기보호는 포기했습니다.
2. 주간보호와 단기보호 서비스란?
주간보호 서비스란?
주간보호 서비스(주간보호 서비스)는 낮 동안 어르신을 보호하고 다양한 활동을 제공하는 돌봄 서비스입니다. 보호자는 직장이나 개인적인 일을 하면서도 안심하고 어르신을 맡길 수 있습니다.
- 운영 시간: 보통 오전 9시~오후 6시 (센터마다 다를 수 있음)
- 대상: 신체적, 인지적 도움이 필요한 장기요양 등급을 받은 어르신
- 주요 서비스: 식사 제공, 재활 운동, 건강 관리, 인지 치료, 사회 활동 등
단기보호 서비스란?
단기보호 서비스는 며칠에서 최대 9일 동안 어르신이 시설에 머무르며 24시간 보호를 받는 서비스입니다. 보호자가 여행을 가거나 개인적인 사정으로 잠시 돌봄이 어려울 때 유용합니다.
- 운영 기간: 최대 9일 (연간 4회까지 연장 가능)
- 대상: 장기요양 등급을 받은 어르신 중 단기간 집중적인 보호가 필요한 경우
- 주요 서비스: 24시간 숙식 제공, 건강 관리, 재활 치료, 사회 활동 등
3. 주간보호 vs 단기보호 서비스 및 한도액, 본인부담금 비용 비교
[서비스]
구분 | 주간보호 서비스 | 단기보호 서비스 |
정의 | 낮 동안 보호 및 프로그램 제공 | 24시간 숙식 제공 |
운영 시간 | 3시간 이상 ~ 13시간 이하 | 최대 9일 (연간 4회까지 연장 가능) |
주요 대상 | 낮 동안 보호가 필요한 어르신 | 보호자가 일정 기간 돌볼 수 없는 어르신 |
제공 서비스 | 식사, 건강관리, 재활운동, 사회활동 등 | 24시간 돌봄, 식사, 건강관리, 재활 치료 |
식비 및 간식비 | 식사 1회: 2,000원~3,000원, 간식 1회: 500원~1,500원(공통 : 전액본인부담) |
[장기요양 등급별 월 한도액 및 일반수급자, 차상위계층, 기초생활수급자별 본인부담금(2025년 기준)]
등급 | 2025년 월 한도액 | 일반수급자 | 차상위계층 | 기초생활수급자 |
1등급 | 2,306,400원 | 15% | 6%, 9% | 면제 |
2등급 | 2,083,400원 | 15% | 6%, 9% | 면제 |
3등급 | 1,485,700원 | 15% | 6%, 9% | 면제 |
4등급 | 1,370,600원 | 15% | 6%, 9% | 면제 |
5등급 | 1,177,000원 | 15% | 6%, 9% | 면제 |
인지지원등급 | 657,400원 | 15% | 6%, 9% | 면제 |
[주간보호센터 본인부담금]
이용시간 | 등급 | 2025년 수가 | 본인부담금(15%) | 감경(9%) | 감경(6%) |
3시간~6시간 미만 | 1등급 | 40,650원 | 6,098원 | 3,659원 | 2,439원 |
2등급 | 37,630원 | 5,645원 | 3,387원 | 2,258원 | |
3등급 | 34,740원 | 5,211원 | 3,127원 | 2,084원 | |
4등급 | 33,160원 | 4,974원 | 2,984원 | 1,990원 | |
5등급 | 31,580원 | 4,737원 | 2,842원 | 1,895원 | |
인지지원등급 | 31,580원 | 4,737원 | 2,842원 | 1,895원 | |
6시간~8시간 미만 | 1등급 | 54,490원 | 8,174원 | 4,904원 | 3,269원 |
2등급 | 50,470원 | 7,571원 | 4,542원 | 3,028원 | |
3등급 | 46,590원 | 6,989원 | 4,193원 | 2,795원 | |
4등급 | 45,000원 | 6,750원 | 4,050원 | 2,700원 | |
5등급 | 43,400원 | 6,510원 | 3,906원 | 2,604원 | |
인지지원등급 | 43,400원 | 6,510원 | 3,906원 | 2,604원 | |
8시간~10시간 미만 | 1등급 | 67,770원 | 10,166원 | 6,099원 | 4,066원 |
2등급 | 62,780원 | 9,417원 | 5,650원 | 3,767원 | |
3등급 | 57,960원 | 8,694원 | 5,216원 | 3,478원 | |
4등급 | 56,380원 | 8,457원 | 5,074원 | 3,383원 | |
5등급 | 54,780원 | 8,217원 | 4,930원 | 3,287원 | |
인지지원등급 | 54,780원 | 8,217원 | 4,930원 | 3,287원 | |
10시간~13시간 미만 | 1등급 | 74,660원 | 11,199원 | 6,719원 | 4,480원 |
2등급 | 69,160원 | 10,374원 | 6,224원 | 4,150원 | |
3등급 | 63,900원 | 9,585원 | 5,751원 | 3,834원 | |
4등급 | 62,290원 | 9,344원 | 5,606원 | 3,737원 | |
5등급 | 60,710원 | 9,107원 | 5,464원 | 3,643원 | |
인지지원등급 | 54,780원 | 8,217원 | 4,930원 | 3,287원 | |
13시간 초과 | 1등급 | 80,060원 | 12,009원 | 7,205원 | 4,804원 |
2등급 | 74,170원 | 11,126원 | 6,675원 | 4,450원 | |
3등급 | 68,520원 | 10,278원 | 6,167원 | 4,111원 | |
4등급 | 66,930원 | 10,040원 | 6,024원 | 4,016원 | |
5등급 | 65,350원 | 9,803원 | 5,882원 | 3,921원 | |
인지지원등급 | 54,780원 | 8,217원 | 4,930원 | 3,287원 |
- 본인부담금 비율:
- 일반 수급자: 급여비용의 15%
- 차상위계층: 급여비용의 9%
- 기초생활수급자: 본인부담금 면제
- 비급여 항목:
- 식비: 평균 한 끼 2,000원 ~ 3,000원
- 간식비: 1회 기준 500원 ~ 1,500원 (일일 평균 2회)
- 가산 요금:
- 오후 6시 ~ 10시 야간 이용 시: 20% 가산
- 오후 10시 ~ 오전 6시 심야 이용 시: 30% 가산
- 주말 또는 공휴일 이용 시: 30% 가산
[단기보호 서비스 본인부담금]
등급 | 2025년 수가 | 본인부담금(15%) | 감겅(9%) | 감경(6%) |
1 | 71,970원 | 10,796원 | 6,477원 | 4,318원 |
2 | 66,640원 | 9,996원 | 5,998원 | 3,998원 |
3 | 61,560원 | 9,234원 | 5,540원 | 3,694원 |
4 | 59,940원 | 8,991원 | 5,395원 | 3,596원 |
5 | 58,300원 | 8,745원 | 5,247원 | 3,498원 |
- 본인부담금 비율:
- 일반 수급자: 급여비용의 15%
- 차상위계층: 급여비용의 9%
- 기초생활수급자: 본인부담금 면제
- 비급여 항목:
- 식비: 평균 한 끼 2,000원 ~ 3,000원
- 간식비: 1회 기준 500원 ~ 1,500원 (일일 평균 2회)
- 최대 9일 (연간 4회까지 연장 가능)
- 가족 등의 외출, 병원치료, 집안 경조사 등 갑작스러운 사정
- 주거환경의 일시적인 변화(이사, 공사 등)
- 단기보호 급여 제공 기간을 연장할 수밖에 없는 경우
4. 주간보호와 단기보호 서비스의 장단점
주간보호 서비스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어르신이 매일 집으로 돌아올 수 있어 심리적 안정감 제공
-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적 교류와 인지 능력 향상
- 보호자가 낮 동안 자유로운 시간 확보 가능
❌ 단점:
- 24시간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에게는 부족할 수 있음
- 저녁 이후 보호가 필요할 경우 추가적인 돌봄 대책이 필요함
단기보호 서비스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보호자가 잠시 휴식을 취하거나 개인적인 일정을 소화할 수 있음
- 24시간 돌봄 서비스 제공으로 안전한 보호 가능
- 어르신이 집에서 벗어나 새로운 환경을 경험할 기회 제공
❌ 단점:
- 어르신이 낯선 환경에 적응하기 어려울 수 있음
- 장기 이용이 어렵고 최대 9일 (연간 4회까지 연장 가능)
5. 신청 방법
- 장기요양등급 신청: 국민건강보험공단을 통해 신청
- 등급 판정 후 서비스 선택: 장기요양등급 인증을 받은 주간보호센터 또는 단기보호 시설 선택
- 센터 상담 및 계약 체결
- 서비스 이용 시작
마무리하며
어르신을 위한 돌봄 서비스 선택은 보호자에게 중요한 결정입니다. 주간보호 서비스는 지속적인 관리와 활동 참여를 원할 때, 단기보호 서비스는 가족이 잠시 돌볼 수 없는 상황에서 유용합니다.
가정의 상황에 맞춰 적절한 돌봄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관련 글 :
장기요양등급별 복지용구 혜택 및 변경 신청 방법 (2025년 기준)
아빠는 낙상으로 인해 뇌출혈 수술을 받고, 요양병원으로 가시기 전까지 비교적 건강하셨지만, 고령이시고 젊은 시절 다친 무릎 상태가 좋지 않아 장기요양 3등급 판정을 받아 주간보호센터에
jmkplus.tistory.com
2025년 재택의료센터 이용 비용, 병원 목록, 신청대상 및 방법
거동이 불편한 분들을 위한 의료 지원이 점점 더 절실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병원 방문이 어려운 경우, 환자와 가족들은 적절한 치료를 받기 힘든 현실이 있습니다.2025년부터 전국 135개소에서
jmkplus.tistory.com
2025년 노인 의료비 지원 – 직접 경험하며 알게 된 것들
낙상으로 뇌출혈 수술을 받으신 후 중환자실에서 지금의 요양병원으로 오기까지 아빠에 대한 걱정은 말할 것도 없지만, 의료비와 간병비 또한 가족에게 부담이 되는 게 현실입니다. 이 과정에
jmkplus.tistory.com
2025 경기도 간병 SOS 프로젝트
경기도는 2025년부터 저소득층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간병 SOS 프로젝트'를 시행합니다. 고령화 사회에서 증가하는 간병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경기도의 새로운 복지 정책입니다. 이번 글
jmkplus.tistory.com
'건강·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 예방을 위한 실천 방법: 건강 습관, 두뇌 활동 가이드 (4) | 2025.03.05 |
---|---|
연명의료, 중단해야 할까? 연명치료 종류와 부작용 총정리 (2) | 2025.03.03 |
비타민C 메가도스 6년 실천 후기 - 효과와 주의사항 (3) | 2025.03.01 |
연명치료, 사랑인가 집착인가? 이별을 준비할 수 있을까? (0) | 2025.02.22 |
요양병원에서 응급실, 다시 요양병원으로(응급실비용 및 추가 후기) (1) | 2025.02.10 |
산소포화도 측정, 정상 수치와 낮아지는 원인 분석 (6) | 2025.02.09 |
뇌출혈 환자 요양병원 필수 준비물 체크리스트 (3) | 2025.02.08 |
중환자실 입원 환자 준비물과 간병 비용 후기 (1) | 2025.02.06 |